게시물 업데이트를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어느덧 시간이 이렇게나 지났다.
얼마전 2달간 메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비록 혼자 작업하고 있지만) RestFul한 api통신을 체험해보고 싶었고,
그래서 controller를 @restcontroller를 넣어서 api통신이 가능한 컨트롤러단을 구성하였다.
즉, 백엔드단 따로, 프론트단 따로 구성하여 api로 통신하며 만들어 볼 계획이다.
아직 프론트단에서 어떻게 통신을 받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가 좋은 경험이 되리라 생각된다.
Redis란
레디스는 NoSQL의 Key-value 저장소로 InMemory 기반의 Data Structure Store이다. 인메모리 기반이므로 서버를 재시작하면 데이터는 날아간다. 대신에 캐시를 조회할 때 경우 저장장치의 i/o보다 훨씬 빠르게 동작할 수 있다. 레디스는 데이터에 만료시간을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만료시간이 지나면 그 데이터는 Redis에서 삭제되므로 보통은 인증 토큰 등을 저장하는 보조적 저장소로 쓰인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redis를 토큰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해보았다.
레디스 설치방법 (윈도우 기준)
맥의 경우에는 아래의 링크로 접속하여,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를 참고하여 실행시켜 주면 된다.
Download
Redis You can download the last Redis source files here. For additional options, see the Redis downloads section below. Stable (7.0) Redis 7.0 includes several new user-facing features, significant performance optimizations, and many other improvements. It
redis.io
윈도우의 경우 redis 프로그램을 따로 다운받아 내컴퓨터에 설치한다.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dis
GitHub - microsoftarchive/redis: Redis is an in-memory database that persists on disk. The data model is key-value, but many dif
Redis is an in-memory database that persists on disk. The data model is key-value, but many different kind of values are supported: Strings, Lists, Sets, Sorted Sets, Hashes - GitHub - microsoftarc...
github.com
해당 링크로 접속하면 오른쪽탭에 Releases가 있다.
아래의 +28 releases를 누른다.
그러면 이런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여기에서 Redis-x64-3.0.504.msi의 용량이 제일 큰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시킨다.
설치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별다른 설정없이 내컴퓨터에 설치하면 된다.
레디스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 redis를 설치한 폴더로 들어가 redis-server.exe를 실행시켜 준다.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려면, 작업관리자-서비스탭에 들어가서 확인 할 수 있다.
또는, redis-cli.exe를 실행하여 레디스 명령어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보통 레디스는 c:드라이브-program files에 설치되는데 해당 경로를 타고 들어가서 redis에서 redis-cli.exe를 찾아 실행시킨다.
실행시키고 나서 ping을 입력하면 "pong"으로 귀여운 답신을 보낸다.
그러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
'똑띠맨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똑띠맨 프로젝트 : 기능 명세서 및 테이블 명세서 작성 (0) | 2022.10.28 |
---|---|
(1) 똑띠맨 프로젝트 - JAVA와 Python 비교 및 차이점. 어떤 언어를 선택할 것인가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