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3 test subject로 필요한 junit 버전 설정하여 테스트하는 방법 2일간 오류를 해결하지 못했는데 드디어 해결했다ㅠㅠ 그동안의 오류 로그들 An exception occurred applying plugin request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4.1'] > Failed to apply plugin [id 'org.springframework.boot'] > Spring Boot plugin requires Gradle 5 (5.6.x only) or Gradle 6 (6.3 or later). The current version is Gradle 4.10.2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field error: variable amount not initialized .. 2022. 8. 22. [오류해결] AopAutoConfiguration matched: - @ConditionalOnProperty (spring.aop.auto=true) matched (OnPropertyCondition) 책의 샘플 예제코드를 따라치던 중 AopAutoConfiguration matched: - @ConditionalOnProperty (spring.aop.auto=true) matched (OnPropertyCondition) 와 함께 엄청 긴 오류가 떴다. 대략 빈등록이 되지 않았다는 오류였는데, 구글링을 해보니 junit의 버전이 다를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이 달라서 오류가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외부 라이브러리를 확인해보니 나는 junit5를 쓰고 있었고 내가 테스트로 올린 어노테이션은 junit4에서 쓰는 것이었다. import domain.posts.Posts; import domain.posts.PostsRepository; import org.junit.After; import org.jun.. 2022. 8. 21. 인텔리제이 compile과 implementation의 차이점 Spring Boot Data Jpa 관련하여 책에 나온 프로젝트를 따라 치다가 문득 의문이 들었다. build.gradle에 dependencies를 설정하면서 jpa를 위하여 h2와 data-jpa를 compile하라고 되어 있었는데 인텔리제이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A problem occurred evaluating root project >Could not find method compile() for arguments 알고보니 compile은 gradle 3.0이상부터는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implementation 로 바꿔서 적용시켜줘야한다. 그러다가 의문이 생겼다. compile과 implementation의 차이점은 그럼 뭐지? 둘 다 의존성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공.. 2022. 8. 21. 이전 1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