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 코드를 묶음으로 묶은 것을 의미한다. 메서드는 함수의 개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함수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들을 묶은 것
메서드 : 클래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함수
하지만 자바에서는 모든 코드를 클래스 내에서 작성하므로 함수라는 표현보다는 메서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메서드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에 일련의 처리를 가하여 도출된 결과값을 반환한다.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 할 수 있다.
A main (B C) {
D
}
A,B,C의 각 위치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반환_타입 메서드_이름(매개변수_타입 매개변수_이름) {
메서드_바디
}
A는 반환_타입, B는 매개변수_타입, C는 매개변수_이름, D는 메서드_바디를 대체하여 설명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반환타입은 메서드가 반환할 반환값의 종류 및 유형을 의미하며, 메서드를 정의할 때 메서드 이름 앞에 반환타입을 명시해줘야한다.
메서드는 어딘가 저장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데, 저장하는 장소는 '변수'에 한다. 변수에 어떤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한다'라고 한다.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값을 저장하고 있는 변수를 가르켜 '매개변수'라고 한다. 매개변수는 매서드 외부에서 매서드 내부로 전달한 값을 할당받아 저장하여, 매서드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매개변수를 정의할 때에는 매서드 이름 옆에 소괄호를 열고, 그 안에 매개변수의 타입과 매개변수의 이름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명시하면 된다.
매서드 바디는 매서드가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할지에 대한 코드를 작성하는 곳이다. return 키워드를 이용해 값을 반환한다.
int add(int num1, int num2) {
return num1 + num2;
}
int는 더하기 기능을 가진 메서드이며, 정수 형태의 값 두개를 입력받아 num1과 num2에 각각 할당된다. return을 통해 num1과 num2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더한 값을 결과값으로 반환한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ializable 직렬화를 하는 이유(class implements Serializable) (0) | 2022.11.01 |
---|---|
String이란, String 선언과 메서드 (0) | 2022.06.29 |
JAVA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의 차이 (0) | 2022.06.19 |
JAVA의 특징 (0) | 2022.06.19 |
의사코드(슈도코드)란, 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이유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