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는 실제 값을 의미하는 기본타입(primitive type)과 어떤 값이 저장된 주소를 값으로 가지는 참조 타입(reference type)의 두가지 타입을 가진다.
기본타입은 데이터의 실제 값을 의미하며, 정수타입, 실수타입, 문자타입, 논리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수타입으로는 byte, short, int, long을 사용하고, 실수는 float, double, 문자타입으로는 char, 논리타입으로는 Boolean이 있다.
참조타입은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값을 의미하는데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고, 위의 8개의 기본형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들을 일컫는다.
정수형에서 변수의 값이 자료형의 범위를 넘을 경우 오버플로우(overflow) 또는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맞는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
- 오버플로우 : 자료형이 표현할 수 있는 범위 이상의 값을 표현한 경우 발생
- 언더플로우 : 자료형이 표현할 수 있는 범위 이하의 값을 표현한 경우 발생
실수타입에서 double형은 float형보다 정밀도가 더 높다. 정밀도는 데이터 타입의 크기가 클수록 높아지는데, 정밀도가 더 높다는 것은 더 큰 실수를 저장할 수 있고 더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다는 말이다.
논리타입은 boolean형 하나만 있다. boolean은 참과 거짓을 값으로 가지며 보통 조건을 참과 거짓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 사용한다.
문자타입으로 char타입의 변수는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문자를 변수에 대입하면 문자 그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자에 해당하는 정수 값(유니코드 값)이 저장된다.
반응형
LIST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ializable 직렬화를 하는 이유(class implements Serializable) (0) | 2022.11.01 |
---|---|
String이란, String 선언과 메서드 (0) | 2022.06.29 |
메서드란, 메서드 구조와 역할 (0) | 2022.06.19 |
JAVA의 특징 (0) | 2022.06.19 |
의사코드(슈도코드)란, 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이유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