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15 메서드란, 메서드 구조와 역할 자바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 코드를 묶음으로 묶은 것을 의미한다. 메서드는 함수의 개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함수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들을 묶은 것 메서드 : 클래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함수 하지만 자바에서는 모든 코드를 클래스 내에서 작성하므로 함수라는 표현보다는 메서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메서드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에 일련의 처리를 가하여 도출된 결과값을 반환한다.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 할 수 있다. A main (B C) { D } A,B,C의 각 위치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반환_타입 메서드_이름(매개변수_타입 매개변수_이름) { 메서드_바디 } A는 반환_타입, B는 매개변수_타입, C는 매개변수_이름, D는 메서드_바디를 대체하여 설명한 것을.. 2022. 6. 19. JAVA의 특징 자바는 다음과 같은 네가지의 큰 특징을 가진다. 1.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임 2. 객체 지향 언어 3. 함수형 프로그래밍 지원 4. 자동 메모리 관리 처음으로 컴퓨터와 의사소통을 했을 때는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들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인간이 0과 1로 나름의 규칙(기계어)을 가지고 컴퓨터와 소통했다. 만약 2+3을 계산하고자 한다면 2진법의 10+11=101 라는 익숙하지 않은 수식어를 사용해야 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어셈블리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어셈블리어는 0과 1에서 좀 더 인간언어에 가까운 단어들로 대체해준다. 하지만 어셈블리어는 기계에 따라 영향을 받는 다는 단점이 있었다. 각 컴퓨터마다 어셈블리어를 공부해야 했고, 컴퓨터마다 바이트 저장방식이 달라 숫자 표기법 .. 2022. 6. 19. 의사코드(슈도코드)란, 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이유 의사코드(슈도코드, pseudo code)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모듈이 작동하는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인간의 언어로 먼저 어떤 것을 어떤 과정으로 작성할 것인지 작성해 보는 것이다. 우리는 말을 어느정도 생략하더라도 상대방이 알아챌 수 있음을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있기 때문에 말로 표현할 때는 생략된 과정들이 많다. 하지만 컴퓨터에게 전달하였을때에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다. 의사코드를 잘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코딩을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므로 되도록 이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하는 것을 연습해 두어야겠다. 의사코드는 나중에 알고리즘에 가서 그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풀이가 긴 코드의 경우, 잘 작성된 의사코드 만으.. 2022. 6. 19. 이전 1 2 3 다음 LIST